전세 계약할 때
계약서만 잘 쓰면 되는 줄 알았는데,
요즘은 한 끗만 놓쳐도 사기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 많죠.
오늘은
2025년 기준, 전세 계약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핵심 5가지 항목을
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.
✅ 1. 등기부등본 확인 – ‘채권·근저당’ 먼저 체크
- 발급 위치: 정부24 / 대법원 인터넷등기소
- 확인 항목:
- 소유자 일치 여부
- 근저당권 설정 여부
- 가압류/가처분 등 ‘권리침해’ 표시 유무
💡 등기부등본에 빨간 줄 있으면 절대 계약 X
✅ 2. 전세 보증금 반환 보장 보험 여부
- 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
- 가입 가능 여부는 전세 계약 이전에 미리 확인 필요
- 가입 불가 → ‘위험 매물’일 가능성 ↑
💡 “사고 나면 돌려받을 수 있는지”는
계약 전에 이미 결정돼 있어요.
✅ 3. 건물/주택의 ‘건축물대장’ 확인
- 위반건축물인지, 불법 증축된 공간인지 확인 필수
- 다가구 주택은 실제 거주 세대 수와 등재 내용 비교
💡 불법 구조물에 전세 계약하면
주거권 보장 안 될 수 있음
✅ 4. 확정일자 + 전입신고 타이밍
항목 언제 해야 하나?
확정일자 | 계약 다음날 등기소 or 동주민센터 |
전입신고 | 입주일 당일 or 그 다음날 |
주의 | 전입+확정일자 모두 있어야 ‘대항력 발생’ |
💡 순서 틀리면 보증금 보호 불가
✅ 5. 계약서 작성 시 특약 사항 작성
- 중도 해지 시 위약금 조건 명시
- 보일러, 수도, 벽지, 가구 상태 등 사진 포함
- 전세보증금 반환 시기·조건 구체화
💡 말로만 하지 말고, 계약서에 꼭 명시해야 법적 효력
💬 마무리 요약
“전세 계약은 싸게 하는 게 아니라,
안전하게 하는 게 가장 싸게 하는 겁니다.”
문서, 절차, 타이밍, 전부 다 지켜야
돈도, 사람도, 집도 지킬 수 있어요.